2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어린 왕자가 한국에서 학교를 다녔다면?" – 교육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다. (“What if the Little Prince had gone to school in Korea?” – Rethinking the nature of education) (movie: The Little Prince 1974)

이미지
"어린 왕자가 한국에서 학교를 다녔다면?" – 교육의 본질을 다시 생각하다. 줄거리 사막 한가운데로 한 조종사(파일럿)가 비행기를 몰다가 불시착합니다. 비행기를 수리하던 조종사는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작은 소년, 어린 왕자를 만나게 됩니다. 어린 왕자는 조종사에게 자신이 작은 별(B-612)에서 왔으며, 여러 행성을 여행하다가 이곳에 오게 되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어린 왕자는 자신의 행성에서 장미를 소중히 돌보았지만, 장미의 교만한 태도에 상처를 받고 여행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그는 여정을 통해 여러 기이한 어른들을 만나게 됩니다. 왕 : 모든 것을 통제하려 하지만 사실 아무것도 다스리지 못하는 인물 허영심 많은 남자 : 끊임없이 칭찬받길 원하는 사람 술꾼 : 부끄러움을 잊기 위해 술을 마시는 어른 실업가 : 별을 소유하려는 욕심 많은 사업가 가로등지기 : 아무 의미 없이 명령을 따르는 인물 지리학자: 직접 탐험하지 않고 지식만 쌓으려는 학자 이 여행을 통해 어린 왕자는 어른들의 세상이 얼마나 이상하고 불합리한지를 깨닫습니다. 마지막으로, 그는 지구에 도착하여 여우를 만나게 됩니다. 여우는 어린 왕자에게 “길들인다”는 것의 의미를 가르쳐주며,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소중한 교훈을 전합니다. 결국 어린 왕자는 다시 자신의 별로 돌아가기 위해 뱀에게 물려 사라집니다. 조종사는 어린 왕자와의 만남을 통해 삶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고, 그를 잊지 않기로 다짐하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특징 및 주제 이 영화는 원작의 철학적 메시지를 유지하면서도 뮤지컬 형식을 도입해 더 감성적으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특히 어린 왕자와 여우의 장면은 감동적인 노래와 함께 영화의 핵심 메시지를 강조합니다. 영화는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길들인 것에 대해 책임이 있다” 등의 원작 철학을 음악과 춤을 통해 감동적으로 표현합니다. 인상적인 장면 "정말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아." 이 장면은 단순한 대사가...

"공평한 세상을 꿈꾸며" (Movie: To Kill a Mockingbird)

이미지
   "공평한 세상을 꿈꾸며" 줄거리 앵무새 죽이기는 1930년대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한 영화로, 인종 차별과 정의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요. 변호사 애티커스 핀치는 백인 여성 메이엘라 유얼을 강간한 혐의로 기소된 흑인 남성 톰 로빈슨을 변호하게 됩니다. 애티커스는 톰이 억울하다는 것을 밝히려고 노력하지만, 당시 사회의 인종 차별 때문에 톰은 결국 유죄 판결을 받게 돼요. 톰은 도망치려다 안타깝게도 목숨을 잃게 됩니다. 이 사건은 애티커스의 자녀인 스카웃과 젬에게 큰 영향을 주어요. 두 아이는 아버지가 정의를 위해 싸우는 모습을 보면서 많은 것을 배우게 됩니다. 한편, 이웃집 은둔자 부 래들리는 밥 유얼이 아이들을 해치려 할 때 그들을 구해줍니다. 알고 보니 부 래들리는 소문과 다르게 진짜 영웅이었던 거죠. 이 영화는 정의와 용기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애티커스 핀치는 그런 가치의 상징으로 남게 됩니다 . 인종차별: 보이지 않는 벽을 넘어 인류는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며 발전해왔습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특정 집단이 우월하다고 믿거나, 다른 집단을 배척하는 현상이 지속되어 왔습니다. 인종차별은 단순한 편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회적, 경제적 구조 속에서 깊이 뿌리내린 문제입니다. 이는 단순한 개인의 태도가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체계적인 억압과 불평등으로 나타난다. 역사 속 인종차별의 흔적 인종차별의 역사는 인간 사회의 어두운 그림자와도 같다고 생각합니다. 과거 대서양 노예무역을 통해 수백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강제로 이주당했고, 미국에서는 1960년대까지 법적으로 분리된 인종 정책이 유지되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정책 또한 공식적인 인종 차별의 사례였습니다. 하지만 역사 속에서 차별받은 이들은 계속해서 저항했고, 인권운동과 법 개정을 통해 변화를 이끌어냈습니다. 오늘날의 인종차별: 보이지 않는 벽 법적으로 평등이 보장된 현대 사회에서도 인종차별은 여전히 존재한다...

"믿음은 흔들려도 멈추지 않는다"

영화 《천로역정: 천상의 길》 (The Pilgrim's Progress, 2019) 줄거리 이 애니메이션 영화는 존 번연의 기독교 고전 천로역정 을 원작으로 하여, 크리스천(Christian)이라는 주인공이 하늘 도성을 향해 믿음의 여정을 떠나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1. 여정의 시작 크리스천은 멸망할 도시에서 가족과 함께 살고 있던 평범한 남자입니다. 어느 날, 한 책(성경)을 읽고 자신이 죄로 인해 멸망할 운명임을 깨닫고 깊은 고민에 빠집니다. 그는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이를 알리지만, 아무도 그의 말을 믿지 않습니다. 결국, 그는 가족을 뒤로하고 **하늘 도성(천국)**을 향한 여정을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2. 믿음의 시험과 유혹 크리스천은 길을 나서자마자 여러 장애물을 만나게 됩니다. 절망의 늪 : 믿음이 흔들릴 때 빠지는 절망의 늪에서 빠져나오고, 세속적 지혜 씨 : 쉽고 편한 길을 가라고 유혹하는 인물을 만나기도 합니다. 좁은 문 을 지나면서 본격적인 신앙의 길에 들어서게 됩니다. 그 후, 크리스천은 신앙을 시험하는 다양한 장소와 인물을 마주합니다. 허영의 시장 : 세상의 유혹과 쾌락이 가득한 곳에서 신앙을 포기하지 않으려 애쓰지만, 친구 신실(페이스풀)이 순교하게 됩니다. 거인의 성 : 절망 거인에게 잡혀 감옥에 갇혀 있지만, 기도의 힘으로 탈출합니다. 의심의 성 : 불신과 의심에 빠지지만, 다시 믿음을 회복합니다. 3. 하늘 도성에 도착 크리스천은 동료 소망(호프풀)과 함께 마지막 장애물인 죽음의 강 을 건넙니다. 강을 건너자, 마침내 천사가 그들을 맞이하며 하늘 도성(천국)의 문 을 열어 줍니다. 크리스천은 이제 영원한 안식과 기쁨을 누리게 됩니다. "천로역정: 신앙은 정말 '길'일까?" 우리는 흔히 신앙을 "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길이란 무엇인가? 정해진 목적지가 있고, 그 길을 따라가면 결국 도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신앙도 그렇게 단순한 걸까? 그저 참고 견디며 걷기만 하...

리차드 주얼(Richard Jewell, 2019)

줄거리 리차드 주얼(폴 월터 하우저)은 법 집행 기관에서 일하는 꿈을 가진 보안 요원으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공원에서 근무 중이었다. 그는 공원 내 수상한 배낭을 발견하고 이를 경찰에 신고한다. 해당 배낭 안에는 폭탄이 들어 있었고, 경찰과 보안 요원들의 신속한 대피 조치 덕분에 수많은 인명이 구해진다. 처음에는 주얼이 영웅으로 칭송받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FBI와 언론은 그를 폭탄 테러의 유력한 용의자로 몰아간다. FBI는 그의 과거 이력과 경찰을 동경하는 성향을 근거로 범행 동기를 조작하려 하고, 언론은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앞다투어 보도하며 그를 가해자로 낙인찍는다. 주얼은 변호사 왓슨 브라이언트(샘 록웰)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싸운다. 하지만 언론과 정부 기관의 거센 압박 속에서 그는 점점 궁지에 몰린다. 주얼과 그의 가족은 언론의 과도한 보도와 FBI의 강압적인 수사로 인해 극심한 고통을 겪는다. 결국 수개월 후, 주얼이 범인이 아니라는 결정적인 증거가 밝혀지면서 그는 혐의를 벗게 된다. 하지만 이미 그의 명예는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였고, FBI와 언론의 무책임한 행동이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감상문 때로 우리는 눈앞에 펼쳐진 이야기에 휩쓸려, 진실을 간과하거나, 아예 찾으려 하지 않는지도 모릅니다. 언론과 여론은 사람들의 마음을 쉽게 흔들 수 있지만, 그때마다 누군가의 인생은 무참히 깨지곤 합니다. 몇 마디의 말, 몇 자의 기사, 몇 초의 방송이 한 사람의 명예를 송두리째 짓밟을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쉽게 잊는 진실일지도 모릅니다. 리처드 주얼, 아만다 녹스, 듀크 대학교의 선수들. 그들은 각기 다른 이유로 대중의 눈에 범죄자로 비춰졌지만, 그들 모두에게는 자신만의 이야기가 있었고, 그 이야기는 너무 쉽게 왜곡되고 왜곡되었습니다. 우리가 그들의 입장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면, 우리는 어떤 사람이 진짜 억울한 상황에 처할 수 있는지 상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누군가를 유죄로 단정짓는 일이 얼마나 간단한가요? 우...